[저출생 기획] ④ 아이 울음소리 줄어드는 동아시아…출구전략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저출생 기획 해외 특별 취재를 통해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본, 싱가포르 등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도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는 걸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해를 거듭할수록 합계출산율은 떨어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그 마지막 순서로, 현지 전문가들을 통해 출구전략이 있는지 직접 들어봤습니다.<br /><br />이화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국, 일본, 싱가포르. 동아시아 국가들은 출산율이 매년 떨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출구 없는 저출생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사회·경제적 변화는 물론 그에 따른 인식 변화 등이 종합된 결과라고 분석합니다.<br /><br />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에게 가족과 아이는 필수 선택지가 아니라는 게 그중 하나입니다.<br /><br /> "특히 여성들은 경력을 쌓고 삶에서 성공하고 싶어 합니다. 그래서 가족과 아이는 유일한 선택지가 아닙니다."<br /><br />자녀 양육에 드는 부담이 크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 "자녀 양육은 최소한 하나의 직업에 드는 노력에 상응하고 특히 아이가 5살에서 7살이 되는 동안은 더 노력이 많이 듭니다."<br /><br />싱가포르, 한국 등 정부 차원에서 이어진 경제적 지원은 문화적 규범이나 인식까지는 바꾸지 못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.<br /><br /> "물론 경제적 지원은 필수적입니다. 하지만 많은 정책적 해결책들은 실제로 기존의 문화적 규범을 바꾸지 않습니다. 규범 자체가 아이를 더 많이 갖는 것을 막고 있다면 어떨까요?"<br /><br />여성이 주로 돌봄을 책임진다거나 경력을 희생하는 등 기존에 공유되던 인식들이 결혼과 출산을 가로막는 요인이 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출산을 하는 건 여성이고, 육아를 하는 것도 여성으로 한국과 일본 모두 역할 분담 의식이 강하다는 문제가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."<br /><br />가족 구성과 아이에 대한 달라진 태도를 봐야 한다고도 조언합니다.<br /><br /> "가장 큰 문제는 정말 태도입니다. 젊은 부부들은 자신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? 어디에 우선순위를 둘까요? 결국, 우리는 각 가정의 삶의 선택을 이해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전문가들은 앞으로 인구가 감소하고, 고령화하는 사회에 맞게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 "인구가 감소하는 사회에서 어떤 시스템이 중요한지, 복지제도를 포함해 인구 감소를 전제로 한 사회로 변화시키는 논의를 바로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반전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저출생.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는 국가들에서 나오는 근본적인 지적들은 우리가 눈 여겨봐야 할 내용입니다.<br /><br />우리 사회에 적용 가능한 지혜를 포착하는 게 문제를 해결할 열쇠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싱가포르에서 연합뉴스TV 이화영입니다. (hwa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 기자 진교훈·김상윤]<br /><br />#저출생 #싱가포르 #일본<br /><br />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